울산테크노파크
ULSAN TECHNOPARK

공지사항


  • homeHOME
  • 알림마당
  • 공지사항
제목 [산기평]2008년도 산업·자원 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 공고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08-01-25 조회수 7,172
내용


산업자원부 공고 제2008-13호

2008년도 산업·자원 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 공고

산업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산업자원부와 중소기업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기술개발사업의 2008년도 사업별 지원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08년 1월 22일
산업자원부 장관

산업·자원 기술개발사업은 산업자원부와 중소기업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기술개발사업으로 산업기술개발사업, 산업기술기반조성사업, 에너지자원기술개발사업, 전력기술개발사업,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사업,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 등 산업기술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기업, 대학, 연구소 등이 참여하여 추진하는 사업을 말함.

1. 공통사항

■ 신청자격
ㅇ『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제16조의 규정에 의해 공장을 등록한 사업자
ㅇ 국·공립연구기관, 특정연구기관 및 정부출연연구기관, 산업기술연구조합, 전문생산기술연구소
ㅇ 대학, 산업대학, 전문대학, 기술대학
ㅇ 한국디자인진흥원, 산업디자인전문회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생산성본부, 한국전자거래진흥원
ㅇ 사업자단체, 비영리연구법인, 산업기술단지(테크노파크)사업자
ㅇ 기업부설연구소를 보유한 사업자
ㅇ 기술개발촉진법에 의거하여 과학기술부장관이 인정한 법인
ㅇ『소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특별조치법」에 의한 소기업
ㅇ『벤처기업육성에관한특별조치법』제2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벤처기업
■ 신청방법

ㅇ 사업별 공고 내용의 신청방법에 따라 신청

■ 사업공고

사업별 추진일정에 따라 한국산업기술평가원(www.itep.re.kr), 산업기술지원 홈페이지(www.itech.go.kr) 또는 해당 세부사업 관리기관 등의 홈페이지(문의처 참조)에 공고

■ 정부출연금 지원 조건 (산업기술개발사업 기준)
주관기관 유형 기술개발 형태
정부출연금
지원비율
민간부담 현금비율
중 소 기 업
벤 처 기 업
공동기술개발
(산학, 산연, 산학연, 기업간)
3/4이내 총개발비에 대해
1차년도:10%
2차년도:15%
3차년도:20%
단독 기술개발 1/2이내
기 타
(대기업, 연구소,
대학 등)

공동기술개발
(산학, 산연, 산학연, 기업간)
2/3이내*
단독 기술개발
1/3이내
*

주관기관 유형이 “기타” 이고 기술개발형태가 “공동기술개발” 으로서 참여기업이 2개 미만이거나 참여기업 중 중소기업의 비율이 2/3미만인 경우 정부출연금 지원비율은 1/2이내임

*

민간부담현금비율은 변경될 수 있으며, 추후 개별사업별로 진행되는 공고를 참조

■ 기술료 (산업기술개발사업 기준)

기술개발사업의 최종평가결과가 “성공”으로 평가될 경우, 기술개발종료시점에서 정부출연금의 40%를 5년 이내에 균등분할하여 납부하여야 함

 
-

다만, 중소기업이 주관하거나 중소기업의 민간부담금이 총 민간부담금의 50% 이상인 경우는 정부출연금의 20%를 3년 균등분할 납부함

■ 지원제외

다음의 경우는 지원에서 제외함

  - 신청된 기술개발계획 내용이 기 개발되었거나, 기 지원된 과제와 동일할 경우
- 산업기술개발사업에 참여중인 자가 접수마감일 현재 동 사업 의무사항(보고서 미 제출, 기술료 미 납부 등)
- 을 불이행하고 있는 경우
- 정부 기술개발사업에 참여제한중인 자 또는 기관(기업)
- 금융기관 등의 신용거래 불량자

각 사업별로 신청자격, 정부출연금 지원조건, 기술료 등이 다를 수 있으므로 사업별 지원계획 및 향후 사업별 공고 참조

각 사업별 향후 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일정변경 및 추가 사업안내는 문의처의 해당 관리기관 및 산업기술지원 홈페이지에 공지함

시행사업 중 신규 지원이 없는 다목적실용위성본체개발사업, 헬기기술자립화사업 등의 지원내용은 산업기술지원 홈페이지(www.itech.go.kr)에서 확인 가능



2. 사업별 지원 계획

(1) 전략기술개발사업
■ 사업개요

국가 성장전략에 기반한 15대 전략기술 분야의 핵심?원천기술을 패키지형으로 집중 지원하여 新성장동력을 창출

■ 지원규모 : 4,414억원
<7개 단위사업별 예산> (단위:억원)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조선
산업소재 차세대
컨버전스
바이오·
의료기기
제조기반 지식서비스
963 429 584 477 645 1,028 288
■ 지원내용

15대 전략기술 분야의 핵심·원천기술을 패키지형으로 집중 지원하며, 기술위원회, 지원단 등을 통해 상시 과제발굴 및 기획을 추진하여 지원

<15대 전략기술 분야>
① 주력산업(7) :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조선, 섬유의류, 생산시스템, 화학공정소재, 금속재료
② 미래유망(4) : 바이오, 차세대로봇, 디지털컨버젼스, 차세대의료기기
③ 기반기술(4) : 나노기반, 생산기반, 청정기반, 지식서비스기반

지원대상 : 기업, 대학, 연구소 등

지원조건 : 과제당 연간 20~30억원 내외 / 개발기간 5~7년 내외

■ 추진일정
ㅇ 2007. 11 ~ 2008. 5
ㅇ 2008. 06 ~ 2008. 7
ㅇ 2008. 07
ㅇ 2008. 08
: 연구기획
: 사업신청 공고 및 접수
: 주관기관 선정
: 협약체결

(2) 섬유산업스트림간협력기술개발사업
■ 사업개요

섬유산업 스트림간 협력을 통하여 섬유·패션산업의 기술혁신과 경쟁력 제고를 위한 차별화 신기술 및 신공정 개발을 지원

■ 지원규모 : 200억원(신규 120억원, 계속과제 80억원)
- ‘08년도 신규 지원규모에 “웰빙친화적기술개발사업” 15억원 포함
■ 지원내용

산업용섬유, 의류용섬유, 생활용섬유 등 3대 섬유분야를 지원
- 웰빙친화적기술개발사업 : 신발, 안경, 문구, 완구, 가구, 스포츠레저용품, 보석 및 귀금속 등 생활용품 지원

지원대상 : 기업, 대학, 연구소 등

지원조건 : 과제당 연간 1 ~ 10억원 내외 / 개발기간 2년 내외

■ 추진일정
ㅇ 2008. 2 ~ 2008. 3
ㅇ 2008. 5
ㅇ 2008. 5 ~ 2008. 6
: 사업공고 및 접수
: 주관기관 선정
: 협약체결

(3) 중장기산업기술개발사업
■ 사업개요

국가 성장전략에 기반한 15대 전략기술 분야 이외의 신산업분야를 대상으로 중장기적으로 기초기술에서 응용·상용화기술까지 미래 핵심기술 개발을 지원하여 성장잠재력을 확충

■ 지원규모 : 106억원
■ 지원내용

15대 전략기술 분야이외의 신산업분야(세라믹, 2차전지, 차세대 광융합기술, 감성지능형 디자인, 지능형 유통물류, 미래 웰빙산업 등)에 대하여 연구기획을 통해 도출된 과제를 지원

지원대상 : 기업, 연구소, 대학 등 컨소시엄

지원조건 : 추진체계에 따라 총사업비의 3/4이내 지원 / 개발기간 5~7년 지원

■ 추진일정
ㅇ 2008. 1
ㅇ 2008. 2 ~ 2008. 4
ㅇ 2008. 5
ㅇ 2008. 6
: 연구기획 공고 및 주관기관 선정
: 연구기획
: 연구기획 평가 및 과제 공고
: 주관기관 선정 및 협약

(4) 우수제조기술연구센터사업
■ 사업개요

세계 일류기술에 대한 경쟁력 확보를 위해 우수한 기술 잠재력을 보유한 기업연구실을 집중 지원

■ 지원규모 : 294억원(신규 52억원, 계속 242억원)
■ 지원내용

지원대상 : ‘07년도 매출액 중 수출 비중이 10%이상이고 R&D 투자가 다음 기준 이상인 기업부설연구소 보유 기업
- 매출액 50~200억원 미만 : 5% 이상
- 매출액 200억원 이상 : 3% 이상

지원조건 : 센터당 3~5억원/1년(연도별 총 개발사업비의 50%이내)/개발기간 5년 이내 지원

■ 추진일정
ㅇ 2008. 2 : 사업공고
ㅇ 2008. 3 : 신규접수
ㅇ 2008. 4 : 사업자 선정
ㅇ 2008. 5 : 협약체결

(5)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 사업개요

산업기술의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단기간에 시급히 개발이 필요한 15대 전략산업분야의 기술고도화사업 지원

■ 지원규모 : 294억원 (신규 193억원, 계속 101억원)
■ 지원내용

15대 전략산업 분야의 단기기술개발 지원하며, 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해 기술성 평가 후 민간투자기관으로부터의 투자유치를 의무화함.

지원대상 : 기업, 대학, 연구소 등
지원조건 : 연간 5억원 이내 / 개발기간 3년 이내 지원
■ 추진일정
ㅇ 2008. 1
ㅇ 2008. 2
ㅇ 2008. 3
ㅇ 2008. 3 ~ 2008. 5
ㅇ 2008. 6
: 기술수요조사 및 RFP 작성
: 사업공고 및 접수
: 기술성평가
: 민간투자유치
: 협약체결

(6) 항공우주부품기술개발사업
■ 사업개요

실용화 위주의 World Best급 항공우주부품·소재 기술개발로 세계적 항공우주부품 공급 기지화 및
항공우주분야 기술경쟁력 강화

■ 지원규모 : 100억원 (신규 43억원, 계속 57억원)
■ 지원내용
ㅇ 항공기 및 우주비행체의 관련 핵심모듈, 부품·소재류 개발을 지원
ㅇ 지원대상 : 기업, 대학, 연구소 등
ㅇ 지원조건 : 총사업비의 50~100% 지원, 개발기간 3년 내외 지원
■ 추진일정
ㅇ 2007. 12 ~ 2008. 2
ㅇ 2008. 3
ㅇ 2008. 3 ~ 2008. 4
ㅇ 2008. 5
: 기술수요조사 및 신규사업 기획
: 사업공고 및 접수
: 신규사업자 선정평가
: 협약체결

(7) 21세기프론티어기술개발사업
■ 사업개요

선진국과 경쟁이 가능한 강점기술을 전략적?선택적으로 집중 개발하여 2010년대 초반 전략기술 분야에서 세계 정상급 기술력 확보

■ 지원규모 : 449억원 (계속 449억원)
■ 지원내용

5개 분야(지능형 마이크로시스템, 차세대 소재성형, 차세대 디스플레이, 스마트무인기, 지능형 로봇)의 기술개발 지원

지원대상 : 기업, 대학, 연구소 등

지원조건 : 사업단별로 연간 80~100억원 내외 / 개발기간 3단계 10년간 지원
■ 추진일정
ㅇ 2008. 2 ~ 2008. 3 : 사업단 진도점검 및 비교평가
ㅇ 2008. 4 ~ 2008. 5 : 산자부 - 사업단 협약
ㅇ 2008. 5 ~ 2008. 6 : 사업단 - 주관기관 협약

(8) 디자인기술력향상사업
■ 사업개요

국가 디자인 역량강화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 등 디자인인프라 구축을 통한 제조업의 디자인경쟁력강화 및 디자인업계의 Tatal Design 능력 제고

■ 지원규모 : 270억원
■ 지원내용
ㅇ 디자인기술개발과 디자인기반구축 분야에 지원
ㅇ 지원대상 : 기업(디자인전문회사 포함), 대학, 연구소 등
ㅇ 지원조건 : 총 개발비의 75%이내 지원
■ 추진일정
ㅇ 2008. 2 : 사업공고 및 접수
ㅇ 2008. 3 : 지원과제 선정
ㅇ 2008. 4 : 사업자 선정평가
ㅇ 2008. 4 : 협약체결

(9) 표준기술력향상사업
■ 사업개요

기초 표준, 표준정책, 표준연구개발, 표준확산사업을 지원함으로써 개발기술의 세계시장 확대의 한계를 극복하고 표준기술력 향상을 도모

■ 지원규모 : 169억원 (신규 27억원, 계속 142억원)
■ 지원내용
ㅇ 표준화기초사업, 표준화정책사업, 표준화연구개발사업, 표준확산사업으로 지원
ㅇ 지원대상 : 기업, 대학, 연구소 등
ㅇ 지원조건 : 전액 정부출연금으로 지원
■ 추진일정
ㅇ 2008. 2 : 수요조사
ㅇ 2008. 4 : 사업공고 및 접수
ㅇ 2008. 5 : 사업자 선정평가
ㅇ 2008. 6 : 협약체결

(10)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
■ 사업개요

외국 기업·연구소 등과의 공동연구개발을 지원함으로써 자체개발 능력의 한계를 극복하고 국내 기술력 향상을 도모

■ 지원규모 : 160억원 (신규 90억원, 계속 70억원)
■ 지원내용
ㅇ 미국(KORUS-Tech), EU, 러시아 등과의 공동연구개발을 지원(국가제한 없음)
ㅇ 지원대상 : 기업, 대학, 연구소 등
ㅇ 지원조건 : 공동기술개발비용의 2/3까지 지원, 기간?금액 탄력적 지원
■ 추진일정
ㅇ 2008. 4 : 수요조사
ㅇ 2008. 5 : 사업공고 및 접수
ㅇ 2008. 7 : 사업자 선정평가
ㅇ 2008. 10 : 협약체결

(11) 부품·소재기술개발사업
■ 사업개요

부품·소재의 세계적 공급기지로 발전하기 위하여 세계적 조달참여가 유망하고 타 분야의 기술 혁신과 경쟁력 제고에 긴요한 핵심 부품·소재의 원천기술 개발

■ 지원규모 : 1,965억원 (신규 700억원, 계속 1,265억원)
■ 지원내용
ㅇ 핵심 부품·소재의 수입대체 개발 및 원천기술 개발에 대하여 지원
ㅇ 지원대상 : 기업, 대학, 연구소 등
ㅇ 지원조건 : 과제 성격에 따라 연간 5~20억원 지원, 총 사업비의 100%까지 지원
■ 추진일정(단독주관 기준, ( )안은 공동주관/핵심소재원천 일정)
ㅇ 2008. 1 (2008. 3) : 사업공고
ㅇ 2008. 3 (2008. 5) : 신규접수
ㅇ 2008. 4 (2008. 6) : 사업자 선정평가
ㅇ 2008. 5 (0 0-0 0) : 민간투자유치
ㅇ 2008. 6 (2008. 6) : 협약체결

(12) 부품소재전문기업 기술지원사업
■ 사업개요

부품소재전문기업의 현장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애로를 25개 공공연구기관의 인력, 장비, 정보를 활용하여 해결

■ 지원규모 : 150억원
■ 지원내용
ㅇ 공정개선, 시험분석 등 공정 全단계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애로 해결 지원
ㅇ 지원대상 : 부품소재특별법 제2조에 따라 요건을 갖춰 등록한 부품소재전문기업
ㅇ 지원조건 : 1억원 기준으로 내용에 따라 차등지원
■ 추진일정
ㅇ 2008. 1
ㅇ 2008. 3, 6, 10
ㅇ 2008. 4, 7, 11
: 사업공고 (접수는 수시)
: 사업자 선정평가
: 협약체결

(13) 부품소재 국제협력사업
■ 사업개요

외국이 보유한 부품·소재 관련 우수기술을 국내 기업의 상업화 기술과 결합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원천기술 확보

■ 지원규모 : 60억원
■ 지원내용

상대적으로 기술접근이 용이한 유라이사·중앙아시아권(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과의 부품소재 부문 공동연구개발을 지원

지원대상 : 부품·소재전문기업, 연구기관 등
지원조건 : 과제 성격에 따라 2~8억원 내외 차등지원/ 개발기간 1~3년 지원
■ 추진일정
ㅇ 2008. 2
ㅇ 2008. 5, 10
ㅇ 2008. 6, 11
: 사업공고 (접수는 수시)
: 사업자 선정평가
: 협약체결

(14) 산업기술인력양성사업
■ 사업개요

산업현장 기술인력 재교육, 산학협력 활성화, 공학교육 혁신 등을 통한 수요자 중심의 인력양성을 통해 기술 인력의 양적?질적 불균형(Job-mismatch, Skill-mismatch) 문제 해소 및 산업의 경쟁력 강화

■ 지원규모 : 722억원
■ 지원내용

일자리창출지원사업, 공학교육인증지원, 여학생공학교육 선도대학 지원 등의 공과대학 경쟁력 강화 등 다양한 기술인력 고도화 및 공과대학 경쟁력 강화 사업 지원

지원대상 : 대학, 연구소, 단체 등 공공기관, 기업
지원조건 : Matching Fund(민간출연 10%이상, 세부사업별로 차이가 있음.)
■ 추진일정
ㅇ 2008. 3 : 일자리창출지원사업 선정지원
ㅇ 2008. 5 : 공학교육 인증지원
ㅇ 2008. 7 : 공학교육 혁신센터 지원
ㅇ 2008. 8 : 여학생공학교육 선도대학 지원
ㅇ 2008 10 : 특성화전문계고 육성사업, 최우수실험실 선정 지원

(15) 기술이전·사업화 촉진사업
■ 사업개요

정부 연구개발성과의 민간이전을 촉진하고,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사업화를 지원함으로써 국가 R&D 성과의 확산 도모

■ 지원규모 : 420억원
■ 지원내용

기술분야에 제한은 없으며, 기술거래소/기보 등 기관이 직접 추진하는 사업과 일반기업 등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사업으로 구분하여 지원

지원대상 : 기업, 대학, 연구소 등
지원조건 : 세부사업별로 차이가 있음.
■ 추진일정
ㅇ 2008. 2 : 사업화연계기술개발사업 공고
ㅇ 2008. 3 : 신기술창업보육사업 공고
ㅇ 2008. 4 : 특허경비지원사업 공고
ㅇ 2008. 7 : 해외기술수출입지원사업 공고

(16) 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
■ 사업개요

향후 5~10년 내에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할 10대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중장기기술개발과제 지원

■ 지원규모 : 1,117억원 (전액 계속사업비)
■ 지원내용
ㅇ 지능형 로봇, 미래형 자동차, 차세대전지, 차세대디스플레이, 차세대반도체 등 10대 분야 지원
ㅇ 지원대상 : 산학연 컨소시엄
ㅇ 지원조건 : 과제당 연간 20억원 내외 / 개발기간 5년 내외
■ 추진일정
ㅇ 2008. 1 ~ 2008. 6
ㅇ 2008. 7
ㅇ 2008. 8 ~ 2008. 9
: 단계보완·기획
: 단계평가
: 협약체결

(17) 지역산업기술개발사업
■ 사업개요

지역산업 활성화를 위해 추진중인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4개지역+9개지역+지역혁신산업기반구축)의 일환으로 지역산업의 혁신역량 제고를 위해 기술개발사업 지원

■ 지원규모 : 1,188억원 (신규 688억원, 계속 500억원)
■ 지원내용

지역별 전략산업 범위 내에서 지원하며, 지역공통기술개발사업/지역기초기술개발사업 등으로 지원(기초기술개발사업은 대구 섬유산업만 지원)

지원대상 (4개지역사업만 해당)
- 공통 : 기업, 학교, 연구소, 지역특화센터 등
- 기초 : 대학, 연구기관 등(개발결과의 공개활용)
지원조건
- 공통 : 1년, 연간 2억원 이내, 총사업비의 3/4까지 정부출연금으로 지원
- 기초 : 1년, 연간 1억원 내외, 총사업비의 100%를 정부출연금으로 지원
■ 추진일정(공통기술 기준, ( )안은 기초기술 일정)
ㅇ 2008. - (2008. 2) : 수요조사
ㅇ 2008. 2 (2008. 5) : 사업공고 및 접수
ㅇ 2008. 4 (2008. 7) : 사업자 선정평가
ㅇ 2008. 5 (2008. 8) : 협약체결

(18) 지역연고산업진흥사업
■ 사업개요

산·학·연 및 기업지원기관 간의 협력촉진과 연계강화를 통해 지역혁신역량을 결집?확충하고 지역산업 경쟁력을 증대

■ 지원규모 : 511억원 (신규 100억원, 계속 411억원)
■ 지원내용

지역의 특성과 여건에 맞는 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지역혁신주체들이 공동 참여하는 사업으로 기초 및 광역단위 사업, 지자체연계 지원사업 지원

지원대상 : 기업, 대학, 연구소 등
지원조건 : 3년, 연간 10억원 내외, 지자체 및 민간의 대응투자(국비의 15~30%)
■ 추진일정
ㅇ 2008. 1
ㅇ 2008. 2
ㅇ 2008. 3 ~ 2008. 5
ㅇ 2008. 6
: 시행계획 수립
: 사업공고 및 접수
: 사업자 선정평가
: 협약체결

(19) 산업단지혁신클러스터사업
■ 사업개요

단순 생산기능 중심의 산업단지에 R&D 역량강화,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등 부족한 혁신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우리 경제 재도약을 견인할 혁신클러스터로 육성

■ 지원규모 : 633억원 (신규 520억원, 계속 113억원)
■ 지원내용

12개 시범산업단지별 미니클러스터 활동을 통해 발굴된 R&D, 마케팅, 인력, 경영부분 등 기업 혁신역량강화를 지원
- 12대 단지 : 창원, 울산, 광주, 군산, 반월·시화, 구미, 원주, 남동, 대불, 명지녹산, 성서, 오창단지

지원대상 : 산업단지내 입주기업(인근 대학, 연구소 등 포함)
지원조건 : 2억원 미만 / 개발기간 1년 이내
■ 추진일정
ㅇ 상시 대상과제 발굴 및 지원

(20) 지역혁신센터조성(RIC)사업
■ 사업개요
대학을 중심으로 지역전략분야 및 대학 강점분야의 장비구축?활용, 연구개발 등을 통해 지역혁신역량 제고 및 성장 잠재력 확충
■ 지원규모 : 441억원
■ 지원내용
ㅇ 계속사업 50개 센터 및 신규센터 선정 지원
ㅇ 지원대상 : 대학, 연구소
ㅇ 지원조건 : Matching Fund(사업비의 75% 이내)
■ 추진일정
ㅇ 2008. 2 : 사업공고 및 접수
ㅇ 2008. 5 : 중간평가 및 협약체결
ㅇ 2008. 6 : 신규평가 및 협약체결

(21) 산학협력중심대학육성지원사업
■ 사업개요
대학의 교육·연구체제를 산학협력 중심으로 전환, 산학협력의 거점으로 육성하고 수요자 중심의 교육체제 구축 및 대학의 기업지원 강화
■ 지원규모 : 220억원
■ 지원내용
ㅇ 지원대상 : 산학협력중심대학으로 선정된 13개 대학(일반대 8개, 산업대 5개)
ㅇ 지원조건 : Matching Fund(지방자치단체, 산업계 각각 정부출연금의 5%이상 현금 대응투자)
■ 추진일정
ㅇ 2008. 6 : 수요자 만족도 조사계획 수립
ㅇ 2008. 8 : 성과평가
ㅇ 2008. 9 : 협약체결

(22) 지역인력양성사업
■ 사업개요
산·학 공동 기술개발과제를 지원하고, 동 과제에 석?박사생을 참여시켜 지역산업체 맞춤형 우수 인력으로 양성·공급
■ 지원규모 : 260억원
■ 지원내용
ㅇ 지원대상 : 산학협력 기술개발팀(지방 기업 및 대학 공동 구성)
ㅇ 지원조건 : 연간 1억원 내외, 민간부담(현금,현물) 25% 이상 / 최대 3년 지원
■ 추진일정
ㅇ 2008. 3
ㅇ 2008. 4 ~ 2008. 5
ㅇ 2008. 6
: 사업공고 및 접수
: 실태조사 및 사업자 선정평가
: 협약체결

(23) 에너지자원기술개발사업
■ 사업개요
에너지공급의 안정적인 확보와 국가 에너지기술의 자립도를 제고하여 기후변화협약, 고유가시대 등과 같은 에너지 주변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에너지 저소비형 사회구조로의 전환을 위한 연구개발사업
■ 지원규모 : 1,342억원 (신규 200억원, 계속 1,142억원)
■ 지원내용
ㅇ 에너지효율향상, 온실가스처리, 자원기술, 에너지융복합시스템 등의 기술개발 지원
ㅇ 지원대상 : 기업, 대학, 연구소 등
ㅇ 지원조건 : 총 개발비의 50%이내 지원(Matching Fund)
■ 추진일정
ㅇ 2008. 1 ~ 2008. 2
ㅇ 2008. 4
ㅇ 2008. 5
ㅇ 2008. 6
ㅇ 2008. 7
: 수요조사
: 기술기획
: 사업공고 및 접수
: 사업자 선정평가
: 협약체결

(24)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사업
■ 사업개요
친환경에너지이자 미래 新성장동력인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을 통해 기후변화협약 발효 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수소경제로의 이행기반을 구축
■ 지원규모 : 1,944억원 (신규 851억원, 계속 1,093억원)
■ 지원내용
ㅇ 신·재생에너지 11개 분야의 기술개발 지원
ㅇ 지원대상 : 기업, 대학, 연구소 등
ㅇ 지원조건 : Matching Fund
■ 추진일정
ㅇ 2008. 4 : 과제도출
ㅇ 2008. 5 : 사업공고 및 접수
ㅇ 2008. 6 : 사업자 선정평가
ㅇ 2008. 7 : 협약체결

(25) 에너지기술인력양성사업
■ 사업개요
에너지산업의 미래성장동력화를 위한 산업계 R&D 인력의 수요를 충족하고 에너지/환경분야 고급전문인력을 양성
■ 지원규모 : 314억원 (신규 108억원, 계속 206억원)
■ 지원내용
ㅇ 에너지 분야의 기초인력 및 고급인력 양성사업, 산업인력 교육사업 시행
ㅇ 지원대상 : 기업, 대학, 연구소 등
ㅇ 지원조건 : 연간 10억원 이내 / 개발기간 5년 이내 지원
■ 추진일정
ㅇ 2008. 4 : 수요조사
ㅇ 2008. 5 : 사업공고 및 접수
ㅇ 2008. 6 : 사업자 선정평가
ㅇ 2008. 7 : 협약체결

(26) 에너지 및 자원순환기술개발보급사업
■ 사업개요
산업생산 과정에서 에너지 및 자원의 순환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보급·확산함으로써 에너지 및 자원의 순환효율을 높여 사용량을 원천 감축하고 기업의 대외경쟁력 제고 및 순환형 산업구조(Circular Industrial Structure) 구축
■ 지원규모 : 205억원 (신규 74억원, 계속 131억원)
■ 지원내용
에너지·자원순환효율 규제대응, 희유금속 대체소재·부품 기술개발, 산업단지 내 에너지·자원순환 네트워크 구축, 대·중소기업간 에너지·자원순환 네트워크 구축, 에너지·자원 원단위 절감 재제조 기반구축, 에너지·자원순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기술 및 정책지원
지원대상 : 기업, 대학, 연구소 등
지원조건 : 개발비의 1/3 ~ 전액 정부출연금으로 지원
■ 추진일정
ㅇ 2008. 1 : 수요조사
ㅇ 2008. 4 : 사업공고 및 접수
ㅇ 2008. 5 : 사업자 선정평가
ㅇ 2008. 6 : 협약체결

(27) 수화력발전기술개발사업
■ 사업개요
환경오염물질 저감을 통한 화력발전의 지속적 성장동력 확충과 발전핵심설비의 선진화 및 국산화를 통한 국제 경쟁력 제고
■ 지원규모 : 422억원 (신규 129억원, 계속 293억원)
■ 지원내용
ㅇ 발전선진화기술개발, 발전설비성능향상기술개발, 수화력환경기술개발사업 지원
ㅇ 지원대상 : 기업, 대학, 연구소 등
ㅇ 지원조건 : 총 개발비의 50%이내 (중소기업의 경우 75% 이내) /개발기간 3년 이내
■ 추진일정
ㅇ 2008. 5 : 사업공고 및 접수
ㅇ 2008. 6 : 사업자 선정평가
ㅇ 2008. 7 : 협약체결

(28) 원자력발전기술개발사업
■ 사업개요
국제 경쟁력을 갖춘 원전기술 육성 및 원전기술의 해외진출을 위한 핵심·원천기술 확보
■ 지원규모 : 508억원 (신규 68억원, 계속 440억원)
■ 지원내용
ㅇ 원전선진화기술개발, 원전설비성능향상기술개발, 원자력환경기술개발사업 지원
ㅇ 지원대상 : 기업, 대학, 연구소 등
ㅇ 지원조건 : 총 개발비의 50%이내 (중소기업의 경우 75% 이내) /개발기간 3년 이내
■ 추진일정
ㅇ 2008. 5 : 사업공고 및 접수
ㅇ 2008. 6 : 사업자 선정평가
ㅇ 2008. 7 : 협약체결

(29) 전력계통기술개발사업
■ 사업개요
미래전력기기, 원천기술개발을 통한 전력산업의 지속 성장동력 확충, 전력계통 운영기술 고도화를 통한 안정적인 고품질의 전력 공급
■ 지원규모 : 290억원 (신규 114억원, 계속 176억원)
■ 지원내용
ㅇ 전력계통선진화기술개발, 전력설비성능향상기술개발, 전기환경기술개발사업 지원
ㅇ 지원대상 : 기업, 대학, 연구소 등
ㅇ 지원조건 : 총 개발비의 50%이내 (중소기업의 경우 75% 이내) /개발기간 3년 이내
■ 추진일정
ㅇ 2008. 5 : 사업공고 및 접수
ㅇ 2008. 6 : 사업자 선정평가
ㅇ 2008. 7 : 협약체결

(30) 전력기반기술개발사업
■ 사업개요
전력산업의 성장잠재력 확충 및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전력 IT등 신 패러다임 기술기반 확보
■ 지원규모 : 491억원 (신규 86억원, 계속 405억원)
■ 지원내용
ㅇ 전력선행기술개발, 전기안전기술개발사업, 전력IT술개발 지원
ㅇ 지원대상 : 기업, 대학, 연구소 등
ㅇ 지원조건 : 총 개발비의 50%이내 (중소기업의 경우 75% 이내) /개발기간 3년 이내
■ 추진일정
ㅇ 2008. 5 : 사업공고 및 접수
ㅇ 2008. 6 : 사업자 선정평가
ㅇ 2008. 7 : 협약체결

(31)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 사업개요
기술개발능력을 보유한 중소기업에게 신기술/신제품 개발에 소요되는 비용의 일부를 출연하여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촉진
■ 지원규모 : 2,347억원 (전략 1,500억원, 일반 847억원)
■ 지원내용
ㅇ 전략기술혁신개발과제 및 실용화기술혁신개발과제 지원
ㅇ 지원대상 : 중소제조업체
ㅇ 지원조건 : 연간 1~5억원 이내 / 개발기간 1~2년 이내 지원
■ 추진일정
ㅇ 2008. 1 : 사업공고 및 접수
ㅇ 2008. 3 : 사업자 선정평가
ㅇ 2008. 6 : 협약체결

3. 사업설명회

2008년도 산업·자원기술개발사업 에 대한 정책방향 및 사업설명회를 개최하오니 관심 있는 분께서는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지 역 일 시 장 소 문 의 처
서 울 1. 29(화) 14:00 COEX 그랜드컨퍼런스룸 02-6009-8324
광주 1. 30(수) 14:00 광주테크노파크 대회의실 062-602-7012
부산 1. 30(수) 14:00 부경대학교 051-620-1817
대구 1. 31(목) 14:00 한국섬유개발연구원 국제회의실 053-560-6619
전주 1. 31(목) 14:00 전주대학교 JJ아트홀 063-220-2342
시흥 2. 1(금) 14:00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공업관 대강당 031-8041-0863
대전 2. 1(금) 14:00 한국기계연구원 대강당 042-868-7739

부득이한 사정으로 일정 변경 시 산업기술평가원(www.itep.re.kr) 및
산업기술지원(www.itech.go.kr) 홈페이지
에 공지 예정

문 의 처
사 업 명 관 리 기 관 등 산업자원부
기관명/전화번호 홈페이지
전략기술개발사업 한국산업기술평가원/02-6009-8141~4 www.itep.re.kr 산업기술개발팀
02-2110-5185
섬유산업스트림간
협력기술개발사업
한국부품소재산업진흥원/02-3488-5131 www.kmac.or.kr 섬유생활팀
02-2110-5657
중장기산업기술개발사업 한국산업기술평가원/02-6009-8146 www.itep.re.kr 산업기술개발팀
02-2110-5183
우수제조기술연구센터사업 한국산업기술평가원/02-6009-8126 www.itep.re.kr 산업기술개발팀
02-2110-5188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한국산업기술평가원/02-6009-8135 www.itep.re.kr 산업기술개발팀
02-2110-5186
한국부품소재투자기관협의회/02-6000-7994 www.kitia.or.kr
항공우주부품기술개발사업 한국항공우주기술연구조합/02-786-4379 www.aerospace.re.kr 기계항공팀
02-2110-7804
디자인기술력향상사업 한국디자인진흥원/031-780-2085 www.kidp.or.kr 디자인브랜드팀
02-2110-5106
표준기술력향상사업 한국산업기술평가원/02-6009-8102 www.itep.re.kr 기술표준원
기술표준정책팀
02-509-7220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 한-이스라엘 재단(EUREKA)/02-6009-8251~3
한국산업기술평가원/02-6009-8091
www.koril-rdf.or.kr 산업기술협력팀
02-2110-5193
부품·소재기술개발 한국산업기술평가원/02-6009-8195
한국부품소재산업진흥원/02-3488-5121, 5131
www.kmac.or.kr 부품소재총괄팀
02-2110-5613, 5614
부품소재전문기업기술지원 한국부품소재산업진흥원/02-3488-5141 www.kmac.or.kr 부폼소재총괄팀
02-2110-5616
부품소재 국제협력 전자부품연구원/031-789-7620 www.keti.re.kr 부품소재총괄팀
02-2110-56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032-850-0508 www.eurasiacenter.or.kr
산업기술인력양성 한국산업기술재단/02-6009-3130 www.kotef.or.kr 산업기술인력팀
02-2110-5202
기술이전·사업화 촉진 한국기술거래소/02-6009-4379 www.kttc.or.kr 산업기술시장팀
02-2110-5398
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 한국산업기술평가원/02-6009-8140~4 www.itep.re.kr 산업기술개발팀
02-2110-5183
지역산업기술개발사업 한국산업기술평가원/02-6009-8181,8292 www.itep.re.kr 지역산업팀
02-2110-5597~8
지역연고산업진흥사업 한국산업기술평가원/02-6009-8187 www.itep.re.kr 지역투자팀
02-2110-5092
산업단지혁신클러스터사업 한국산업단지공단/02-6300-5610 www.kicox.or.kr 지역산업팀
02-2110-5596
지역혁신센터 조성(RIC) 한국산업기술평가원/02-6009-8183 www.itep.re.kr 산업기술인력팀
02-2110-5203
산학협력중심대학 육성지원 한국산업기술재단/02-6009-3120 www.kotef.or.kr 산업기술인력팀
02-2110-5202
지역인력양성사업 한국산업기술재단/02-6009-3162 www.kotef.or.kr 산업기술인력팀
02-2110-5205
에너지자원기술개발사업 한국에너지자원기술기획평가원/02-2046-1641~3 www.ketep.re.kr 에너지기술팀
02-2110-5692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사업 한국에너지자원기술기획평가원/02-2046-1650~2 www.ketep.re.kr 신재생에너지팀
02-2110-5407
에너지기술인력양성사업 한국에너지자원기술기획평가원/02-2046-1611 www.ketep.re.kr 에너지기술팀
02-2110-5693
에너지 및 자원순환
기술개발보급사업
국가청정생산지원센터/02-2183-1510,1512 www.kncpc.re.kr 산업환경팀
02-2110-5132, 5136
수화력발전기술개발사업 한국에너지자원기술기획평가원/02-2046-1630~2 www.ketep.re.kr 전력산업팀
02-2110-7874
원자력발전기술개발사업 한국에너지자원기술기획평가원/02-2046-1630~2 www.ketep.re.kr 전력산업팀
02-2110-7874
전력계통기술개발사업 한국에너지자원기술기획평가원/02-2046-1630~2 www.ketep.re.kr 전력산업팀
02-2110-7874
전력기반기술개발사업 한국에너지자원기술기획평가원/02-2046-1630~2 www.ketep.re.kr 전력산업팀
02-2110-7874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중소기업청 기술개발팀
/042-481-4451,4446
www.smba.go.kr 중소기업청 042-481-4451
 
- 첨부파일
2008통합공고문안_홈페이지게재.hwp

첨부파일
교육센터
교육센터
클린신고센터
클린신고센터
안전신고센터
안전신고센터
웹메일웹메일
전자결제전자결재